유령 (1999년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령은 1999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이찬석 소령이 상관을 사살한 죄로 처형된 후, 러시아에서 극비리에 인수한 원자력 잠수함 '유령'에 미사일 통제 장교로 탑승하여 쿠데타를 일으킨 부함장 202에 맞서 싸우는 내용을 그린다. 최민수, 정우성, 설경구 등이 출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봉준호 각본 영화 - 기생충 (영화)
봉준호 감독 연출, 송강호, 최우식 등이 출연한 2019년 대한민국 영화 기생충은 김기택 가족이 박동익 집에 기생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통해 계급 갈등과 사회 불평등을 다루며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과 아카데미 작품상, 감독상 등을 수상했다. - 봉준호 각본 영화 - 남극일기
남극일기는 최도형 대장이 이끄는 한국 탐험대가 남극에서 영국 탐험대 일기를 발견하면서 두 탐험대의 유사점을 발견하는 이야기를 다룬 영화이다. - 해군을 소재로 한 영화 - 덩케르크 (영화)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영화 《덩케르크》는 1940년 덩케르크 철수 작전을 배경으로 육지, 바다, 하늘 세 전선에서 벌어지는 연합군 병사들의 탈출 과정을 극도의 긴박감과 압박감으로 묘사하며 전쟁의 참혹함과 인간의 용기를 보여주는, 역사적 사실에 허구를 더한 IMAX 촬영 작품이다. - 해군을 소재로 한 영화 - 모모타로 바다의 신병
모모타로 바다의 신병은 세오 미쓰요 감독이 제작한 일본의 선전용 애니메이션 영화로, 모모타로 이야기를 모티프로 의인화된 동물들이 해군에 입대하여 술라웨시 섬을 탈환하는 과정을 그리며 전쟁 미화 및 제국주의 비판과 함께 일본 애니메이션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대한민국의 전쟁 영화 - 강철비
강철비는 2017년에 개봉한 한국 영화로, 북한의 쿠데타와 핵 위협 속에서 남북 관계와 국제 정세를 다루며, 북한 요원과 한국 외교안보수석이 핵전쟁 위기를 막기 위해 협력하는 과정을 그린다. - 대한민국의 전쟁 영화 - 평양성 (영화)
2011년 개봉한 이준익 감독의 코믹 시대극 영화 《평양성》은 668년 고구려-당 전쟁을 배경으로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의 평양성 공격을 중심으로 김유신, 연남건, 연남생 등의 이야기를 다루었으며, 해외 영화제 상영 및 긍정적 평가, 정진영의 황금촬영상 수상 등의 성과가 있었다.
유령 (1999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원제 | 유령 |
로마자 표기 | Yuryeong |
영어 제목 | Phantom: The Submarine |
감독 | 민병천 |
제작 | 차승재, 김선아, 임희철, 강철규, 이환희 |
각본 | 봉준호, 장준환, 김종훈, 구선주, 민병천 |
출연 | 최민수, 정우성, 윤주상, 손병호, 김영호, 설경구, 정은표 |
음악 | 이동준 |
촬영 | 고임표, 홍경표 |
편집 | 홍경표 |
제작사 | 우노필름 |
배급사 | 일활 |
개봉일 | 1999년 7월 31일 (대한민국) |
상영 시간 | 103분 |
언어 | 한국어 |
등급 | 12세 이상 관람가 |
해외 개봉 정보 | |
일본 개봉일 | 2001년 3월 3일 |
2. 줄거리
대한민국 최초의 원자력 잠수함 '팬텀'은 일본 해안에서 정찰 임무를 수행한다. 한편, 해군 엘리트 장교 이창석 소령은 잠수함 '장보고'의 부장으로 미국 해군과의 합동 훈련에 참가하고 있었다. 그러나 훈련 중, 장보고 함장 이태준이 훈련과 현실을 구분하지 못하는 정신 이상 증세를 보여 아군 군함에 어뢰를 발사하려 한다. 이창석은 어뢰 발사를 막으려다 함장을 사살하고 군사재판에서 총살형을 선고받아 처형된다.
영화 '유령'에는 다양한 등장인물이 출연한다. 주요 배역과 배우, 그리고 일본어 더빙 성우는 다음과 같다.
하지만 이창석은 남해 비밀 기지의 침대 위에서 눈을 뜬다. 이곳은 국가 보안부 1급 기밀 시설이었다. 그는 '202'라는 인물에게서 자신이 '극비 임무'를 위해 이곳에 왔으며, 기록상으로는 사망한 것으로 처리되었다는 설명을 듣는다. 이창석을 포함한 일행은 모두 이름 대신 번호로 불렸고, 이창석은 '431'로 불리게 된다.
한국은 러시아로부터 원화 차관을 현물로 상환받는 과정에서 시에라급원자력 잠수함을 극비리에 입수했고, 이 잠수함은 작전명에 따라 "유령"이라 불렸다. 이창석은 미사일 통제 장교로 유령함에 탑승한다. 이창석 일행, 즉 죽은 것으로 알려졌던 남자들은 '유령'에 탑승하여 정부의 극비 임무인 《작전명: 유령》의 지령에 따라 동해로 출항한다.
그러나 함내에서 함장만이 아는 극비 지령을 감지한 민족주의 성향의 부함장 202는 쿠데타를 일으켜 함장을 살해한다. 그리고 202는 핵미사일로 일본을 공격하려 하고, 이창석은 이를 막으려 하면서 갈등과 대립이 벌어진다.
3. 등장인물
배역 배우 일본어 더빙 202 (부함장) 최민수 오오츠카 호츄 431 / 이찬석 정우성 마도노 미츠아키 함장 윤주상 키무라 마사시 432 설경구 코야마 타케히로 872 / 방송장교 김영호 사쿠라이 토시하루 981 / 조리장 정은표 사토 하루오 찬석 부 김응수 이시나베 마사히코 기타 쿠리야마 코이치, 코하라 마사카즈, 시미즈 토시타카, 이토 코지, 코모리 히토시, 스즈키 마사카즈
나머지 배역과 배우는 다음과 같다.배역 배우 562 / 경계관 손병호 561 / 항해관 고동업 841 / 정보장교 박길수 842 / 정보하사 우승엽 661 / 소나맨 박준용 663 / 소나보조 조영호 563 송창곤 434 박정환 588 차성준 532 오상무 531 이철민 534 김준석 496 한영수 498 이황의 493 김승온 이태준 박충선 853 이홍표 982 민복기 군의관 전병희 776 김호진 575 강태영 찬석 모 주경희 사형장 장교 윤상오 여장 수병 박승건 771 / 통신장교 성민수 어린 찬석 김기윤 장보고 장교 범원석, 박승우, 정종목 장보고 수병 이재욱
3. 1. 주요 인물
배역 | 배우 |
---|---|
202 (부함장) | 최민수 |
431 / 이찬석 | 정우성 |
함장 | 윤주상 |
562 / 경계관 | 손병호 |
561 / 항해관 | 고동업 |
872 / 방송장교 | 김영호 |
841 / 정보장교 | 박길수 |
432 | 설경구 |
981 / 조리장 | 정은표 |
842 / 정보하사 | 우승엽 |
661 / 소나맨 | 박준용 |
663 / 소나보조 | 조영호 |
563 | 송창곤 |
434 | 박정환 |
588 | 차성준 |
532 | 오상무 |
531 | 이철민 |
534 | 김준석 |
496 | 한영수 |
498 | 이황의 |
493 | 김승온 |
이태준 | 박충선 |
853 | 이홍표 |
982 | 민복기 |
군의관 | 전병희 |
776 | 김호진 |
575 | 강태영 |
찬석 부 | 김응수 |
찬석 모 | 주경희 |
사형장 장교 | 윤상오 |
여장 수병 | 박승건 |
771 / 통신장교 | 성민수 |
어린 찬석 | 김기윤 |
장보고 장교 | 범원석 |
장보고 장교 | 박승우 |
장보고 장교 | 정종목 |
장보고 수병 | 이재욱 |
3. 2. 유령 잠수함 승조원
배역 | 배우 |
---|---|
202 (부함장) | 최민수 |
431 / 이찬석 | 정우성 |
함장 | 윤주상 |
562 / 경계관 | 손병호 |
561 / 항해관 | 고동업 |
872 / 방송장교 | 김영호 |
841 / 정보장교 | 박길수 |
432 | 설경구 |
981 / 조리장 | 정은표 |
842 / 정보하사 | 우승엽 |
661 / 소나맨 | 박준용 |
663 / 소나보조 | 조영호 |
563 | 송창곤 |
434 | 박정환 |
588 | 차성준 |
532 | 오상무 |
531 | 이철민 |
534 | 김준석 |
496 | 한영수 |
498 | 이황의 |
493 | 김승온 |
이태준 | 박충선 |
853 | 이홍표 |
982 | 민복기 |
군의관 | 전병희 |
776 | 김호진 |
575 | 강태영 |
찬석 부 | 김응수 |
찬석 모 | 주경희 |
사형장 장교 | 윤상오 |
여장 수병 | 박승건 |
771 / 통신장교 | 성민수 |
어린 찬석 | 김기윤 |
장보고 장교 | 범원석, 박승우, 정종목 |
장보고 수병 | 이재욱 |
3. 3. 기타 인물
배우 | 배역 | 비고 |
---|---|---|
최민수 | 202 부함장 | |
정우성 | 431 / 이찬석 | |
윤주상 | 함장 | |
손병호 | 562 / 경계관 | |
고동업 | 561 / 항해관 | |
김영호 | 872 / 방송장교 | |
박길수 | 841 / 정보장교 | |
설경구 | 432 | |
정은표 | 981 / 조리장 | |
우승엽 | 842 / 정보하사 | |
박준용 | 661 / 소나맨 | |
조영호 | 663 / 소나보조 | |
송창곤 | 563 | |
박정환 | 434 | |
차성준 | 588 | |
오상무 | 532 | |
이철민 | 531 | |
김준석 | 534 | |
한영수 | 496 | |
이황의 | 498 | |
김승온 | 493 | |
박충선 | 이태준 | |
이홍표 | 853 | |
민복기 | 982 | |
전병희 | 군의관 | |
김호진 | 776 | |
강태영 | 575 | |
김응수 | 찬석 부 | |
주경희 | 찬석 모 | |
박승건 | 여장 수병 | |
성민수 | 771 / 통신장교 | |
김기윤 | 어린 찬석 | |
범원석 | 장보고 장교 | |
박승우 | 장보고 장교 | |
정종목 | 장보고 장교 | |
이재욱 | 장보고 수병 | |
윤상오 | 사형장 장교 |
4. 제작 배경 및 관련 정보
1993년 한국 정부가 러시아로부터 핵잠수함 도면을 제공받았으며, 1994년 한국의 민간회사가 러시아에서 6척의 핵잠수함을 고철로 수입했다. 2010년 현재 한국은 KSS-III 잠수함을 개발 중이다. KSS-III는 SSN이라는 언론의 보도도 있었다.
2009년 브라질은 프랑스로부터 바라쿠다급 잠수함(SSN) 1척을 구매하기로 계약했다. 바라쿠다급 잠수함은 현재 프랑스의 SSN인 루비급 잠수함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 중인 차기 SSN이다. 프랑스 정부는 바라쿠다급 잠수함과 관련하여 사상 최초로 핵잠수함 개발을 외국과 공동 개발하기로 결정하였다. 한국의 KSS-III 개발에 바라쿠다급 잠수함이 연루되었다는 언론 보도도 있었다. 브라질은 1970년대부터 20년 넘게 핵잠수함 개발을 추진하였으며, 2009년 프랑스와 계약하기까지 러시아와도 상당한 계약 협상을 하였다.
2010년 인도는 러시아로부터 시에라급 잠수함의 후속형인 아쿨라급 잠수함(SSN)의 마지막 함인 네르파함을 인도받았다. 총 2척의 아쿨라급 잠수함을 리스하기로 계약했다. 아쿨라급 잠수함은 러시아판 LA급 잠수함이다.
5. 국제 관계
한국은 러시아로부터 원화 차관의 현물 상환으로 시에라급원자력 잠수함을 극비리에 입수했고, 이 잠수함은 "유령"이라고 불렸다.[1] 영화 속에서 대한민국의 첫 번째 원자력 잠수함인 ''팬텀''은 일본 해안에서 정찰 임무를 수행한다.[1] 핵잠수함 도입 과정과 핵무기를 둘러싼 갈등은 동북아시아 지역, 특히 한반도를 둘러싼 강대국들의 군사적 경쟁과 긴장된 안보 상황을 반영한다.
참조
[1]
웹사이트
Yuryeong
https://www.imdb.com[...]
[2]
웹사이트
韓国映画情報 ユリョン
http://cinemakorea.o[...]
シネマコリア
2013-07-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